본문 바로가기

일상/뉴스 News

의사 파업, 환자목숨을 볼모로

kma.org 대한의사협회 졸속적일방적 의사 인력 증원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보도자료

자료배포일,보도요청일 2020.07.23.(목) 

담당부서 전략홍보국 홍보팀(02-6350-6523)

문의 홍보이사 겸 대변인 김대하(010-5358-0912)

졸속적일방적 의사 인력 증원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의협, 의사 인력 증원 반대 기자회견 개최

[기자회견문(성명)]

 

졸속적일방적 의사 인력 증원 정책을 즉각 중단하라

 

정부와 여당이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혼란을 틈타 면밀한 검토 없이 필수의료 분야와 지역 의료인력 확보라는 허울뿐인 명분을 내세워 공공의대 신설 및 의대 입학정원 증원 등 의사 인력 증원 방안을 확정하기 위한 당정협의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국민 보건의료를 책임지는 전국의 의사들을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는 분노를 금할 수 없다.

 

정부 및 여당이 겉으로는 OECD 통계 중 하나인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를 내세우며 우리나라의 의사 인력이 부족하고, 감염병 등 재난적 위기에 대응하 위해 필수의료나 지역에 근무할 의사 인력의 양적 증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실상은 왜 필수의료나 지역 의료가 무너졌고, 이를 되살리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이 전혀 없는 정치적 표퓰리즘의 산물에 불과하다.

 

국가별 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지만, 우리나라 인구 천 명당 활동 의사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OECD 평균 증가율 보다 3배 이상 높은 면에 인구의 연평균 증가율은 OECD 보다 낮아, 2038년이 되면 우리나라 인구 천 명당 활동 의사 수는 OECD 평균을 넘어선다.

 

또한, 필수의료 분야나 지역의 의료 인력이 부족한 것은 의사 인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억누르고 쥐어짜기에만 급급한 보건의료정책의 실패 때문이다.

 

의료전달체계의 재정립이나 진료권 설정 등 지역의 의료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을 마련해 의사들이 필수의료 분야나 지역에서 소신 있게 진료할 수 있는 제도적 기틀을 다지지 않고, 단순히 의사 인력 증원만으로 모든 걸 살리겠다는 정책은 실패할 것이 자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협회는 감염병 등 필수의료 분야나 지역별 의료서비스 격차 해소는 단순히 의사 인력 증원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무분별한 의사 인력 증원은 의료비의 폭증, 의료의 질 저하를 초래할 것이며, 현재 우리가 가진 보건의료의 문제점을 전혀 개선할 수 없게 될 것이다.

 

또한 정부 및 여당에 국민 건강과 의료의 백년대계가 걸린 의사 인력 증원과 관련한 일방적 결정과 밀실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당사자이자 전문가 단체인 우리협회와 긴밀한 논의를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및 여당이 필수의료나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한 근본적 대책 없이 실패할 것이 자명한 의사 인력 증원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국민 생명과 건강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정치적 목적만을 앞세운 포퓰리즘적 정책이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우리협회가 공공의대 신설 및 의대입학 정원 증원 등 정부 및 여당의 일방적 책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안에 대한 대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려 95% 이상이 정부 정책에 반대한다고 응답했으며, 85% 이상은 총파업 등 직접 투쟁을 통해 정부의 잘못된 정책을 바로 잡는데 참여하겠다고 응답했다.

 

여름이 지나고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철과 겨울철에 코로나19가 재유행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엄중한 상황에서, 지금은 면밀한 검토도 근본적 대책도 없이 실패할 것이 자명한 일방적인 의사 인력 증원을 논의할 시점이 아니라,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코로나19의 재유행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우리협회는 정부 및 여당에 일방적인 의사 인력 증원 방안에 대한 의를 즉각 중단하고, 의료계와 함께 국민들을 위한 올바른 보건의료정책 방안과 향후 재유행이 예상되는 코로나19에 대한 보다 철저한 대비책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의료계의 요구를 무시한 일방적인 정책 추진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총파업 등 의료계의 강력한 투쟁은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정부의 초기방역 실패에도 불구하고 위험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사투를 벌여온 의사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K-방역, K-의료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시킬 것이다.

 

다시 한 번 요구한다. 정부 및 여당은 의사 인력 증원 관련 일방적인 정책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진정으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의료계와 논의해 나갈 것을 강력이 촉구한다.

 

2020. 7. 23.

대한의사협회

 

 

 

유튜버 닥터프랜즈의 의대 증원 반대 주장이 허접하게 느껴지는 이유 有

 

https://www.dmitory.com/issue/143235422

 

 

 

 

 

의대협(대한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학생들 수업, 실습 거부해도 성적 보장해 달라

 

 

 

 

(국민청원) 국시 접수 최소한 의대생들에 대한 재접수 등 추후 구제를 반대합니다.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6Pnvrq

 

 

 

"의대 정원 확대 반대" 전공의들, 파업하면서 가운 벗는 퍼포먼스

http://www.segye.com/newsView/20200823507424?OutUrl=daum

 

젋은 투쟁! 의대생, 전공의 #덕분이라며 #더분해 칠린지 '눈길'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686

 

"덕분이라며"...의대생들, '덕분에 챌린지' 조롱 논란/JTBC 뉴스룸

https://www.youtube.com/watch?v=qAk6ZjXfPAA

 

 

대협 '덕분이라며 챌린지' 손모양 사용중지...농인들께 죄송

https://www.yna.co.kr/view/AKR20200822046900017